· HIGHLIGHT
-색색의 실들이 경계를 넘나들며 엮여 있는 정교하고 섬세한 자수의 역사 톺아보기
-밀려오는 시대 흐름 속 바늘을 들었을 예인, 자수장들의 실로 강한 자수 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전시
1)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나 드라마에 자수를 놓고 있는 양반집 규수가 등장
2) 학창 시절, 소소하게 불었던 십자수 열풍
'나는 자수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을까?' 구석구석 뒤져보니 위 2가지 정도로 추려지네요.
아마도 저를 포함해 적지 않은 사람들이 자수를 미디어나 패션에서 봤을 거란 생각이 들어요. 때문에 자수를 미술의 한 영역이라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자수 작품 하나, 작가 한 명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을 전시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을 관람하며 깨달았습니다. 자수가 격변의 시기를 거치며 주류 미술사의 관심 밖에 놓이면서 우리는 자수와 친해질 시간이 더욱 부족했어요. 최근 몇 년 간 다양한 회화, 설치 미술, 조각 등의 전시가 활발히 열린 것에 반해 '자수 전시'는 그 자체만으로도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하니까요.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편협했던 사고를 부수라는 듯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 전시되어 있는 자수는 어떤 경지에 이른 작품들이었습니다. 멀리서 보면 물감으로 그린 회화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가면 실들이 경계를 넘나들며 촘촘하게 엮여 있습니다.(개중엔 회화 작품도 존재합니다.) 적정 거리 안에서 작품을 유심히 들여다봐야 해요. 그래야만 표면을 통과해 흔적을 남기고 다시 표면을 뚫고 나온 실의 궤적을 발견할 수 있거든요.
|파트 1. 백번 단련한 바늘로 수놓고
전시는 총 4개의 파트로 되어 있고 첫 번째 파트에는 생활 자수, 복식 자수, 감상 자수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자수는 2천 년의 역사를 가진 인류의 오랜 문화유산이지만 전시는 자수에 새로운 변화의 조짐이 보인 19세기 말부터 시작합니다.
<백화만발>(김종학,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