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S매거진

김영갑
LIFEArt & Culture
[사진작가 읽기] 김영갑,
그가 사랑한 그 섬에서 다시 만나길
2024.09.13
5 0

십수년 전, TV에서 제주의 모습을 카메라로 담는 한 사진작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상물을 본 적이 있습니다. 대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원이 선택적으로 사멸되어 몸의 근육이 사라지다가 결국은 호흡기의 근육마저 마비되어 사망한다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에 걸렸다는 사진작가의 이야기였습니다. 안타깝고도 인상이 깊었던 그의 이야기였건만 짧은 기억력 탓에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 그에 대한 기억은 사라져버렸습니다(당시는 어린 학생이기도 했습니다).

 

이후에 그에 관한 정보를 접할 기회는 종종 있었지만, 딱히 큰 관심을 두지 못하다가 오랜만에 떠난 제주 여행길에서 지인의 추천으로 들른 그의 갤러리에서 그 사진작가가 남긴 사진에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바로 ‘김영갑’ 작가입니다.

 

 

 

 

1957년생의 김영갑 작가는 1982년부터 제주도를 사진으로 남기기 시작하다가 1985년에 완전히 제주에 정착하며 제주의 모습을 담기 시작했습니다. 제주의 하늘, 바다, 들판, 억새, 그리고 오름 등을 누비며 사진을 찍던 그는 4.3 사건의 여파가 남아 외지인에 대한 경계가 심했던 당시 제주의 상황 탓에 ‘간첩’이란 별명으로 불리며, 종종 꽤나 모진 수모를 겪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의 사진에선 사람과 사람이 마주하며 발생하는 사건과 당시의 시대상을 느끼긴 힘듭니다. 20년간 수없이 담은 그의 사진 속엔 극단적으로 사람이 배제되어 있는데, 그는 제주의 자연이 보여주는 풍경 속에서 거친 내면의 고요함과 힘, 그리고 시적 표현 방식으로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자연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담아냈습니다.

 

 

 

 

“나에게는 옛날 옛적 탐라인들이 보고 느꼈던 고요와 적막, 그리고 평화를 다시금 보고 느낄 수 있는 나만의 비밀화원이 있습니다.”

 

제주의 풍경 속에서 그는 섬의 ‘외로움과 평화’를 사진으로 구현해냈으며, 오히려 그는 인간과 자연의 공존이라는 질문을 던지고 자연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그의 사진이 단순히 풍경사진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는 그러한 경외심과 사랑을 시적 표현력으로 담아낸 고요와 평화로운 모습 앞에 압도되기 때문입니다.

 

 


 

 

한라산의 옛지명인 ‘두모악’이란 이름으로 지어진 그의 갤러리는 제주 동쪽 작은 마을에 위치하고 있는데, 폐교된 초등학교(국민학교) 건물을 임대해서 김영갑 작가가 직접 공사를 하고, 돌을 날라 지어낸 결과물입니다. 김영갑 작가가 루게릭병을 진단받은 것은 1999년의 일인데, 루게릭병이 근육이 사라져 움직이지 못해서 죽어가는 끔찍한 병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2002년에 두모악 갤러리가 문을 열기까지 그의 예술혼과 투지가 엄청났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2005년, 갤러리 두모악에서 사망한 그는 화장 후, 그가 아끼던 앞마당의 감나무 아래에 뿌려졌습니다.

 

그의 사진은 상당수가 ‘Fujifilm GX617’로 작업되었습니다. 120/220 규격의 중형필름을 사용하는 GX617은 이름처럼 세로 6cm, 가로 17cm로 찍히는 파노라마 포맷의 카메라입니다. 광활한 풍경을 담아 보는 이를 압도하게 만드는 이 카메라는 그 하나의 장점을 제외하면 수많은 단점을 지닌 카메라인지라 크고 무거우며, 파노라마 카메라의 특성상 셔터 속도를 빠르게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히 카메라의 무게와 진동을 견뎌낼 수 있는 삼각대가 항상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그걸 메고 수없이 오름을 오르내렸던 그의 사진에는 제주 바람의 궤적이 그대로 담겨있는데, 그가 남긴 사진의 뒤에 서서 뷰파인더를 통해 같은 풍경을 보고 있을 그를 떠올려봅니다. 무릎까지 자라난 풀들은 세차게 흔들리며 발에 감기고, 긴 머리카락은 눈을 가립니다. 폐 안에 들어차는 차가운 공기, 세찬 바람 소리는 어쩐지 고요하게 들리고, 어쩐지 구름이 지나가는 소리마저 들리는 것 같습니다. 그는 과연 그 풍경 속에서 카메라의 셔터를 누르며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요?

 

배가 고파 들판의 무와 당근을 뽑아 먹고, 물로 배를 채우면서도 필름을 사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그의 파노라마 카메라는 120 중형 필름을 넣으면 고작 4장을 찍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면서도 20만 롤의 필름을 남긴 그는 사랑하는 섬, 제주에서 어떤 모습을 찾아내고 싶었던 것일까요?

 

 


 

 

나만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에 대한 꿈을 꾸지만, 결국에는 의뢰에 의한 이미지를 담는 작업에 충실한 작업자이자 기술자로서 멈춰있는 것 같다는 매너리즘에 빠져 자존감이 낮아질 때면, 그의 갤러리에 가서 멍하니 앉아 시간을 보내곤 했습니다. 전시가 바뀌지 않아도 상관이 없었습니다. 오름 위에 서서 카메라에 손을 올리고 눈을 감은 채로 바람을 맞고 있을 그를 떠올리면 어쩐지 제가 가진 고민은 하찮은 것에 불과하게 느껴지고, 다시 한 번 제 자신을 북돋아보는 계기가 되곤 했습니다.

 

그가 사진을 담았던 같은 장소를 찾아가 똑같은 형태로 사진도 찍어보고, 그 풍경 속에서 저도 하나의 풍경으로 녹아들어 시간을 보내 보기도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단 한 번의 일면식도 없는 그가 상냥하게 말을 걸어주는 스승같이 느껴지는 혼자만의 묘한 유대감이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김영갑 작가의 작품을 보고, 그를 느껴볼 수 있었던 갤러리 두모악이 문을 닫았습니다. 내부 공사를 위한 장기 휴관 기간을 가지고 10월 31일까지 휴관을 하겠다는 갤러리측에서 전달한 공지는 크게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실제로는 어려운 팬데믹 시절과 그 이후를 보냈다는 소식을 접했습니다. 지독한 경제 불황으로 인해 지독한 어려움을 겪는 무수히 많은 사람들, 그리고 마찬가지의 힘든 시기를 보내던 저에게 이겨낼 힘을 줬던 갤러리 두모악이라서 그런지 장기 휴관 소식에 충격이 컸습니다. 그러한 사정도 모르고 요새 사람이 적어 작품을 느긋하게 보고, 시간을 보내기가 좋아졌다며 중얼거리던 제 입이 한심해졌습니다.

 

“처음부터 갤러리 완성을 생각했다면 시작도 못했을 것이다. 그저 오늘 하루만, 한 주만, 한 달만, 내 힘이 닿는 데까지만 해볼 생각이었다. 나는 이제 더 이상 사진을 찍을 수 없다.”

 

그렇게까지 만든 갤러리잖아요. 돌아와요. 당신이 남긴 사진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모두에게 이야기 해주고 싶어요.

 

 


 

본 콘텐츠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복제, 배포, 수정 또는 상업적 이용은 소유자의 허가 없이 금지됩니다.

스페샬장

영상제작자(Baby/lonians film works)

https://www.instagram.com/special_jang

태그 #사진작가읽기 #김영갑 #갤러리두모악 #파노라마사진 #중형필름 #gx617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