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네비게이션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S매거진

ㄴㅇㄹㄴㅇㄹ
PREMIUM
PRODUCT렌즈
장르를 가리지 않는 올라운더 : 24-70mm F2.8 DG DN II | Art
2025.02.12
499 2

· HIGHLIGHT
-다양한 부분에서 사용성이 강화된 시그마의 표준 줌렌즈.
-이제는 모든 부분에서 좋아진 올라운더 24-70mm F2.8 DG DN II | Art 렌즈

 


 

카메라와 렌즈를 구입하겠다고 마음먹으면 구입 리스트에 항상 노미네이트 되는 렌즈가 있죠. 바로 24-70mm 렌즈입니다. 이 표준 줌렌즈는 단렌즈처럼 ‘풍경 렌즈’, ‘인물 렌즈’와 같이 어느 특정한 부분의 스페셜리스트는 아니지만 분야를 가리지 않고 활동할 수 있는 올라운더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24-70mm 화각대를 고르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발품을 팔지 않아도 24mm부터 70mm까지 하나의 렌즈로 해결이 된다는 점,  회사마다 렌즈의 바로미터 같은 역할을 한다는 점, 단렌즈에 비해서 초보라도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카메라를 산다면 영입 리스트에 노미네이트 되는 것 같습니다. 

 

단순히 계륵으로만 남기엔 너무 아쉬운 렌즈라 이 렌즈를 들고 대전에 다녀왔습니다.

 

 

애증의 24-70mm

 

24-70mm 렌즈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하자면 소위 말해서 계륵이라고 표현하지만 사실 애증에 가까운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단렌즈만큼의 화질은 아니지만 줌렌즈에서는 뛰어난 화질을 가지고 있고, 렌즈 하나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촬영에서도 밥값은 하는 렌즈입니다.

 

다만, 계륵이 되는 이유에서 단렌즈의 화질과 밝은 조리개의 배경 흐림 덕분에 24-70mm의 F2.8이 상대적으로 평범하게 느껴져 아쉬운 마음이 들지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막상 안 챙기면 쓸 일이 꼭 생겨서 아쉬움이 남는 렌즈라는 점에서 기인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계륵 렌즈도 많이 변했어요.

 

특히, 이번에 들고 다녀온 시그마 24-70mm F2.8 DG DN II | Art 렌즈는 전작과는 다르게 무게, 크기 면에서 작고 가벼워지고 최신 광학 설계로 AF와 화질마저 업그레이드 되어서 돌아왔어요. 예전에는 ‘화질 좋은 렌즈는 무겁고 크다’라는 말은 점점 옛말이 되어 가는 것 같아요. 이제 나름대로 고급 렌즈의 포지셔닝을 위해서는 화질과 소형화, 가벼운 무게는 필수 요소가 되어 버렸습니다. 시그마는 24-70mm F2.8 DG DN II | Art 렌즈를 개발할 때 그런 요소들을 적극 반영했습니다.

 

화질에 대해서는 역시 최신 설계된 렌즈 답게 좋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화질이 좋아졌다는 표현보다는 이제 진짜 올라운더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다는 게 맞는 표현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근접 촬영, 광각, 표준, 준망원의 화각까지 모두 섭렵한 마스터의 느낌을 풀풀 풍깁니다. 리뉴얼 되고 나서 최소 초점거리가 17cm가 대폭 줄었고, 단순히 24mm부터 70mm라는 숫자를 넘어서서 가벼운 근접 촬영까지 커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표준 줌렌즈의 영역이 좀 더 확대되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리뉴얼 된 시그마의 24-70mm F2.8 DG DN II | Art가 갖는 의미는 진정한 올라운더의 탄생이지 않을까요?

 

 

너무 가까이 간 나머지 후드에 물이 차오르는 것도 모르고 찍었습니다.

매월 30개 이상의 프리미엄 콘텐츠를
월 3,900원에 만나보세요!

이미 가입했다면 로그인하기
  • 모든 콘텐츠 무제한 열람
  • 매일 새로운 큐레이션 콘텐츠
  • 구독자 전용 혜택

에디터 C 글 · 사진

오늘도 장비를 삽니다. 장비 없인 못살아.

태그 #시그마 #2470 #표준줌렌즈 #시그마2470II #시계륵2 #DGDN #시그마24702
Velvia 50 이전글 [필름 이야기] 가장 아끼는 필름을 꼽자면, Velvia 50 필름 이야기를 이어오면서 언급했던 브랜드들을 살펴보니 압도적으로 ‘코닥(Kodak)’과 관련한 내용이 많습니다. 코닥이라는 브랜드가 가진 정체성과 역사가 단순히 한 브랜드의 이야기만으로 끝나지 않고, 대중성을 고려하면 코닥에 편향하여 필름 이야기를 이어 나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다만 가장 사랑하는(했던) 필름을 뽑아보라면 그건 코닥의 필름이 아닌 ‘후지필름(Fujifilm)’의 ‘벨비아 50(Velvia 50)’입니다. Copyright ️ Ken Rockwel 루키마저도 될 수 없을 만큼 초보이자 학생이던 시절에 사진과 장비에 관해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은 곳은 아이러니하게도 누군가의 가르침이라든가 책이 아닌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서였습니다.당시 일과 중 하나는 집에 돌아와 컴퓨터를 켜고 각 커뮤니티에서 주기적으로 선정되는 사진들을 확인하며 어떻게 따라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 보는 것이었습니다. 그 시기는 디지털과 필름이 교차하는 시기였는데, 필름 사진을 위주 지나고 보니 따뜻했던 HARMAN RED 다음글 지나고 보니 따뜻했던 HARMAN RED 카메라를 손에 쥔지 대학생 4년, 직장 생활 2년 대략 6년 정도 된 거 같다. 대학생 시절 처음 접한 카메라는 소니 방송용 캠코더였다. 덩치가 어찌나 산만한지 이거 들고 몇 시간 촬영하다간 어깨가 작살날 거 같다고 생각했던 그 첫인상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다음은 '오막삼'이라고 불리는 Canon 5D Mark |||, 그다음 Canon EOS 90D 그리고 지금은 SONY A7R5를 쓰고 있다. 물론 회사 거다. 그럼 필름 카메라도 많이 써봤냐는 질문엔 "No". 그 이유엔 여러 가지가 있다. 사진엔 문외한(영상만 찍어왔다)이었던 나는 입사 후 이것저것 배우느라 필름을 시도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기 쉽지 않았고, 확실한 걸 좋아하는 나에게 필름이라는 불확실성의 매개체는 그리 쉽게 손이 가지 않았다. 그런 나의 호기심을 자극한 필름이 있었는데.. 바로 2025년 2월에 새롭게 출시된 [HARMAN RED]이다. 이름만 들어도 어떤 필름인지 감이 오지 않는가. 이 필름은 평온한 서
목록
0/200 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이나 비속어,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등록

프로모션

최근 본 상품